2023.04.05 기록

2023. 4. 5. 18:55TIL(Today I Learned)

- HTTP는 정해진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보내는 프로토콜이다. 

- 톰캣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서 처리하는 req.getParameter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 응답할 때도 프로토콜에 맞추어서 응답해야 하지만 타입, 길이를 만들어서 내보내야 되는데 reponse객체에서 알아서 처리가 되어있다.

- resp.setHeader()하면 자동으로 스펙에 맞추어서 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톰캣이 서블릿을 한번 만들어놓고 어딘가에 계속 관리하고 있다. 

- 톰캣은 안쪽에서 바구니를 하나 만들고 톰캣이 만든 서블릿들을 다 관리하고 있다.

- 만들어진 서블릿들은 바구니(서블릿 컨텍스트)에 담아있어 그 객체를 가지고 요구하는 것들을 처리한다.

- 쓰레드 풀에 대한 작업도 톰캣이 해주고 있다.

 

!! 주의할 점 !!

- 백엔드 개발자는 멀티쓰레드 환경에서의 작업을 잘 할 수 있어야 인정을 받는다!

- 멀티쓰레드 환경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공유 변수를 쓰지 말아야 한다.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4.18 기록  (0) 2023.04.18
2023.04.06 기록  (0) 2023.04.06
2023.03.30 기록  (0) 2023.03.31
2023.03.29 기록  (0) 2023.03.29
2023.03.27 기록  (0) 2023.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