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SERVLET(12)
-
JSP Cookie & Session 3
//사용자 컴퓨터의 쿠키 저장소로부터 쿠키값을 읽어들임.. //몇개인지 모르기에 배열을 이용하여 쿠키값을 저장 Cookie[] cookies = req.getCookies(); //쿠키값이 없을 수도 있기에 null처리를 해줌 if(cookies != null) { for(int i = 0; i < cookies.length; i++) { if(cookies[i].getValue().equals("id")) { id = cookies[i].getValue(); //원하는 데이터를 찾았기에 반복문을 빠져 나옴 break; } } } [2] : Session -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것이다. - 쿠키는 웹 브라우저 자체에 저장하는 반면, 세션은 클라이언트에 저장한다. - 웹 브라우저당 한..
2023.04.26 -
JSP 페이지 액션 태그 1
[1] : include - 단순히 헤더에 jsp파일을 포함시킬 경우, 이렇게 include 태그를 사용해도 된다. - 하지만, 데이터를 주면서 포함시키고 싶을 경우에, 이렇게 전달하는 방법도 있다. **페이지를 붙이면서, 값도 넘길 수 있음** 보통 실무에서는 후자의 방식을 사용한다. [2] : forward - 페이지 사이의 제어를 이동시킬 때 사용한다. - response.sendRedirect로 보내게 되면 데이터 값이 같이 넘어가지 않게 되는데, forward 태그를 쓰면 데이터 값이 같이 넘어가게 된다. - jsp : param으로 데이터 값을 지정해주면 그 값이 제어된다. 즉, reponse는 페이지가 완전히 이동되기 때문에 그 전 페이지에 있던 내용들이 안넘어와서 끝나게 되지만, forwa..
2023.04.22 -
JSP Include 디렉티브, Taglib 디렉티브
Include 디렉티브 - 웹 페이지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탑 페이지, 바텀 페이지, 왼쪽에 레프트 페이지, 센터만 바뀌는 경우의 페이지 형태가 있다. - 하나의 페이지를 만드려면, 탑과 레프트와 바틈을 그려야 한다. 그래서 탑에 해당되는 jsp, 레프트에 해당되는 jsp, 바틈에 해당되는 jsp를 만들어버리면 뭔가를 포함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include 디렉티브다.
2023.04.18 -
JSP 내장객체 - 3(out)
out 객체란? - JSP 페이지에 출력할 내용을 가지고 있는 출력 스트림 객체이다.
2023.02.01 -
JSP 페이지 내장객체 -2 (Response)
Response 객체란? - 웹 브라우저의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를 말한다. - 로그인이 제대로 되었다면 메인 페이지로 보낼 때 사용한다. - 로그인을 처리 한 후에, 서버 측에서 다른 페이지로 떠넘겨줄 때 사용하는 것이 Response.sendRedirect() 다.
2023.02.01 -
JSP 내장객체 -1
내장객체란? - 내장객체는 JSP 페이지에서 별도의 선언 없이 사용 가능한 클래스들을 말한다. - 특별히 import하지 않아도 언제든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다. - 자주 사용되어지는 객체를 내장객체라 한다. [1] JSP 내장객체의 종류 1. request 객체 - 웹브라우저에서 jsp페이지로 전달되는 정보를 http 헤더와 http 바디로 구성해서 정보를 읽어들일수 있는 객체다. -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서버 측에서 읽어들일 수 있도록 하고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있는지 걸러주는 객체다. -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받은 후에 request 객체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해당하는 서블릿을 눌렀던 jsp까지만 해당이 된다. [1] getParameter() - request 객체의 ge..
2023.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