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4)
-
TRIGGER
TRIGGER - 테이블이나 뷰가 INSERT, UPDATE, DELETE등의 DML 문에 의해 변경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될 내용을 정의하여 저장하는 이벤트 객체이다. CREATE OR REPLACE TRIGGER TRG_01 AFTER INSERT ON EMPLOYEE BEGIN DBMS_OUTPUT.PUT_LINE('신입 사원이 입사했습니다.'); END; /
2023.01.09 -
PROCEDURE & FUNCTION
PROCEDURE란 - PL/SQL 문을 저장하는 객체이다. 필요할 때마다 복잡한 구문을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호출해서 실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FUNCTION - 프로시저와 거의 유사한 용도로 사용하지만, 실행 결과를 되돌려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프로시저와 다르다.
2023.01.09 -
ORACLE 사용자 관리
사용자 관리 (1) 사용자 계정과 암호 설정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아이디와 암호를 만든다. - [형식] CREATE USER 사용자이름 IDENTIFIED BY 암호; //새로운 사용자 계정과 암호를 만드는 구문 CREATE USER USER01 IDENTIFIED BY PASS01; (2) 보안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의 객체에 대한 특정 권한을 가질 수 있게 한다. - 다수의 사용자가 공부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대한 정보 보안을 설정한다.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권한과 롤을 부여할 수 있다. (3)권한이란? - 사용자가 특정 테이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해당 테이블에 SQL(SELECT/INSERT/UPDATE/DELETE)문을..
2023.01.08 -
PL/SQL
PL/SQL - Procedural Language extension to SQL의 약자이다. 오라클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절차적 언어로써, SQL의 단점을 보완하여 SQL 문장 내에서 변수의 정의, 조건처리, 반복처리 등을 지원한다. (1) PL/SQL의 구조 DECLARE SECTION(선언부) : 변수나 상수를 선언하는 부분, DECLARE로 시작한다. EXECUTABLE SECTION(실행부) : 제어문, 반복문, 함수 정의 등 로직을 기술할 때 쓰인다. EXCEPTION SECTION(예외처리부) : 예외사항 발생시 해결하기 위한 문장 기술로 쓰인다. DECLARE EMP_ID NUMBER; EMP_NAME VARCHAR2(30); BEGIN EMP_ID := 888; EMP_NAME := '조..
2023.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