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7)
-
2계층
2계층에서 하는 일 -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즉, 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함 - 추가적으로 오류제어, 흐름제어를 수행함 -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한다.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 3계층의 주소와 3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물리적인 주소) -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를 'MAC 주소'라 한다. 2계층의 프로토콜 1. Ethernet 프로토콜 - Ethernet 프로토콜의 목적지 주소에 MAC 주소가 들어온다. - 받는 사람의 MAC 주소가 프로토콜에 들어오게 된다. - 출발지 주..
2023.01.31 -
네트워크 모델
네트워크 모델의 종류 (1) TCP/IP 모델 - 현재의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 규약(프로토콜)의 모음이다. (2) OSI 7계층 -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 -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눠 놓은 것 (3) 두 모델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공통점 -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이다. - 계층간 역할을 명확히 정의해놨다. 2. 차이점 - 계층의 수 차이 - OSI는 역할 기반, TCP/IP는 프로토콜 기반이다. -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이다. - TCP/IP는 데이터 전송기술에 특화되어 있다. 패킷이란 - 패킷은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칭하는 말로 네트워크에서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2023.01.29 -
네트워크 프로토콜
프로토콜이란? - 프로토콜은 일종의 약속, 양식을 의미한다. - 네트워크에서 노드와 노드가 통신할 때, 어떤 노드가 어떤 노드에게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보내는지 작성하기 위한 양식 - 택배는 택배만의 양식이 있고, 편지는 편지만의 양식이 있고, 전화는 전화만의 양식이 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 (1) 가까운 곳과 연락할 때 - Ethernet 프로토콜 사용 - 가까운 곳이랑 통신할 때는 MAC 주소를 사용한다. (2) 멀리 있는 곳과 연락할 때 - ICMP, IPv4, ARP 프로토콜을 사용 - 멀리 있는 곳과 통신할 때는 IP 주소를 사용한다. (3) 여러가지 프로그램으로 연락할 때 - TCP, UD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포트번호를 사용한다. (4) 여러가지 프로토콜 - 가까운 곳이랑 통신하고 싶다..
2023.01.28 -
네트워크의 분류
네트워크의 분류 (1)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 - 가까운 거리를 연결해놓은 네트워크 통신망 (2) WAN(Wide Area Network) - 멀리 있는 지역을 한테 묶은 네트워크 - 가까운 지역끼리 묶인 LAN과 LAN을 다시 하나로 묶은 것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1) Star형 -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가 연결된 형태 - 일반적으로, 가정집에서는 공유기를 통해 핸드폰, 컴퓨터, TV 등등 연결된다. (2) Mesh형 - 여러 노드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된 형태 - WAN 방식을 사용할 때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 (3) 혼합형 - 실제 인터넷은 여러 형태를 혼합한 형태 네트워크의 통신방식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어떻게 주고 받는가? (1) 유니캐스트 - 특..
2023.01.28 -
OSI 7계층 모델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노드(호스트)를 전송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칙과 전송매체의 특성을 다룬다. - 물리적/전기적/기계적 약속 - 동축케이블 규격, 신호의 전압 등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물리적 전송 오류를 해결하는 계층이다. - 오류 제어 -> 전송 오류 감지(재전송 기능) - 직접 묶여 있는 둘 간의 오류를 제어한다.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주소 개념 - 호스트와 호스트 사이의 올바른 전송 경로를 선택 - 라우터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 연결기능을 지원함 - 안전한 데이터 전송(오류 제어, 흐름 제어) - 실제 양끝단의 프로세스 사이의 오류제어, 흐름제어를 ..
2023.01.10 -
시스템 기초
노드(Node) -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용어다. -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을 말한다. 호스트 - 컴퓨터 기능이 있는 시스템 : 서버, PC - 일반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창구 역할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 호스트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고, 서버가 될 수도 있음 서버 -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보다 먼저 실행되어 대기 상태, 계속 살아있으면서 요청이 오면 서비스를 제공함
202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