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페이지 액션 태그 1

2023. 4. 22. 16:16JSP&SERVLET

[1] : include

- 단순히 헤더에 jsp파일을 포함시킬 경우,

<%@ include file="xxx.jsp" %> 이렇게

include 태그를 사용해도 된다.

- 하지만, 데이터를 주면서 포함시키고 싶을 경우에,

<jsp:include page="xxx.jsp">

<jsp:param value="aaa" name="id"/> 이렇게 전달하는 방법도 있다. 

**페이지를 붙이면서, 값도 넘길 수 있음**

보통 실무에서는 후자의 방식을 사용한다. 

 

 

[2] : forward

- 페이지 사이의 제어를 이동시킬 때 사용한다. 

- response.sendRedirect로 보내게 되면 데이터 값이 같이 넘어가지 않게 되는데, 

forward 태그를 쓰면 데이터 값이 같이 넘어가게 된다. 

 

- jsp : param으로 데이터 값을 지정해주면 그 값이 제어된다. 

즉, reponse는 페이지가 완전히 이동되기 때문에 그 전 페이지에 있던 내용들이 안넘어와서 끝나게 되지만, forward 페이지의 내용들이 살아서 넘어와진다. 

- forward 액션 태그를 사용하면 param 값을 넘겨줄 수 있다.

 

 

[3] : useBean 액션 태그

- 자바빈은 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때 사용한다. 

- 한 사람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아이디, 패스워드 등등) 

- jsp와 데이터베이스 간에 데이터를 쉽게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useBean이다.

- 데이터들을 하나의 클래스로 만든 후에 그 클래스를 데이터베이스에 넘겨준다. 

 

 

ex)

<jsp:useBean id="mBean" class="bean.MemberBean">

 

 

[4] : setProperty

- jsp 내용을 자바빈 클래스에 데이터를 맵핑(넣어준다)한다.

<jsp:setProperty name="mbean" property="id" />

 

 

[5] : getProperty

- jsp내용을 자바빈 클래스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ex)

<h2> 당신의 아이디는 <jsp:getProperty property="id" name="mbean" /> </h2>

 

 

 

 

 

'JSP&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Cookie & Session 3  (0) 2023.04.26
JSP Include 디렉티브, Taglib 디렉티브  (0) 2023.04.18
JSP 내장객체 - 3(out)  (0) 2023.02.01
JSP 페이지 내장객체 -2 (Response)  (0) 2023.02.01
JSP 내장객체 -1  (0) 2023.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