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17 TIL

2023. 7. 17. 19:01TIL(Today I Learned)

(1) Oracle Cloud

- 데이터베이스를 내 컴퓨터에 설치해놓고 접속을 하게 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면(우리 컴퓨터에는 was, DB가 있다. 그 was(tomcat)에 어떤 프로젝트를 add 해놨냐 하면 -> 127.0.0.1:1521 이런 식으로 내 컴퓨터에서만 접속할 수 있게 해놓았다) , 평소에 사용하는 개인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하게 된다면 외부에서 내 컴퓨터에 공격이 들어올 수도 있다.

- Oracle cloud는 DB와 관련된 것인데, 그 DB를 빌려서 사용하게 되면 127.0.0.1 에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 전세계 어디서든 해당 db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2) 컴퓨터 구조

1. CPU, RAM, HDD

- CPU는 사람으로 치면 두뇌에 해당한다. 암산으로만 하면 힘드니까 기억해야 될 데이터를 어딘가에 저장해 놓는다. 그 곳이 바로 메인메모리(RAM)이라는 주기억장치다. 

- 주기억장치(RAM) : 휘발성 메모리다. 저장 안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껐다 키면 데이터가 다 날라간다. 

- 컴퓨터를 껐다 켜도 데이터가 보존되기를 바란다면 D드라이브나 C드라이브 같은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어떤 보조기억장치에 저장을 하면 날라가지 않는다. 

- 하드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는 CPU가 접근할 수 없다. 더블클릭해서 게임을 실행했을 때, CPU가 작업을 하지만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RAM에서 접근해서 데이터를 처리한다.

- 접근순서 : CPU -> RAM -> HDD

- RAM에 올라와 있는 데이터들을 반영시킬 때, 많은 정보들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와서 계산해준다.

- CPU안쪽에도 조그만 저장공간이 있다. 여기에다 게임에서 쓰는 공격력, 방어력과 같은 것들을 저장해준다. 

 

 

2. CPU vs GPU

- GPU(그래픽카드)와 CPU의 차이는 CPU는 물감을 발사하는 총알이 한개라고 할 수 있다. 총알 한개만 가지고서 그림 하나를 그릴 수 있다. GPU는 물감 쏘는 총이 되게 많아서 그 총을 통해서 한번에 그림을 만들 수 있는 예시와 같다.

- 즉, CPU는 쉬운 작업 하나밖에 하지 못한다. 반면에, GPU는 한꺼번에 여러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3. CPU 상세

- CPU가 알파벳을 인식할 수 있는 이유는 문자를 숫자로 바꿔주는 ASCII 때문에 가능하다.

- 전기신호에 따라 숫자 0, 1을 받아들인다.(트랜지스터가 이 역할을 함)

- 트랜지스터를 이용해서 전기신호를 받아들이고, 값을 읽어들인다. 

- CPU는 데이터를 인출, 해석, 실행, 저장하는 과정을 거친다.

 

 

(3) 공공데이터

- 정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 API를 통해서 응답을 받을 수 있고, 공공데이터포털에 접속해서 사용가능하다.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7.19 TIL  (0) 2023.07.19
2023.07.18 TIL  (0) 2023.07.18
2023.07.14 TIL  (0) 2023.07.14
2023.07.13 TIL  (0) 2023.07.13
2023.07.12 TIL  (0) 2023.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