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21. 14:46ㆍ정처기(실기)/통합 구현
(1) 연계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
- 서로 다른 두 시스템, 장치, 소프트웨어를 이어주는 중계 역할을 하는 연계 시스템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 연계 요구사항 분석은 사용자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식별되고 시스템 구성도,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등을 참고한다.
▼ 연계 요구사항 분석 기법 및 참고문서
- 인터뷰 : 사용자 면담을 통해 연계 요구사항 도출
- 체크리스트 : 시스템 운영 환경,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주기 등의 기준에 대한 점검을 통한 분석기법
- 설문지 : 서비스 활용 목적에 따라 연계 필요 데이터 식별 및 연계 주기 등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는 기법
- 델파이 기법 :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분석 기법
- 코드 정의서 : 공통 코드 정의서
- 테이블 정의서 : 데이터 모델링 정의서, 테이블/프로세스 연관도, 연관도, 테이블별 컬럼 속성 정의서
-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 애플리케이션의 메뉴구성, 화면설계, 데이터 발생 시점, 주기, 발생 패턴 등 확인
- 시스템 구성도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 연계 대상 시스템 구성도
(2) 연계 요구사항 분석 참고문서
1. 개체 정의서
- 데이터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이다.
2. 테이블 정의서
-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이다.
-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 인덱스,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이다.
- 컬럼의 특성은 컬럼명, 데이터 타입, 길이, 널 여부, 키 여부, 디폴트 값 등을 의미한다.
3. 인터페이스 명세서
- 인터페이스 정의서에 작성한 인터페이스 id별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타입, 길이 등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한다.
4. 인터페이스 명세서 구성요소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방식, 주기 등을 기록한 현황을 작성한다.
-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
- 최대 처리 횟수 : 단위 시간당 처리될 수 있는 해당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
- 데이터 크기 :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 시 소요되는 데이터의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
- 시스템 정보 : 시스템명, 업무 명, 서비스명/프로그램ID, 연계 방식, 담당자/연락처
- 데이터 정보 : 번호, 필드, 식별자 여부,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 널(NULL) 허용 여부, 항목 설명, 조건, 매핑 규칙, 총길이, 추출 조건/SQL
(3)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1. 시스템 현황 확인 -> 2. 정의서 확인 -> 3. 체크리스트 작성 -> 4. 인터뷰 및 면담 -> 5. 연계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4) 연계 시스템의 구성
- 연계 시스템은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계 방식에 따라 중계 서버를 둘 수 있다.
▼ 연계 시스템 구성
구성 | 내용 |
송신 시스템 | 연계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시스템 |
수신 시스템 | 수신한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 |
중계 서버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
(5) 연계 데이터 식별
- 대내외 시스템 연계를 위해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데이터에 대한 상세 식별 정보를 아래와 같이 확인하여 데이터 표준화에 참고한다.
(6)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1.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2.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3.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 4.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 정의 -> 5.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정처기(실기) > 통합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 (0) | 2022.08.24 |
---|---|
연계 메커니즘 구성 (0)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