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28. 14:17ㆍ정처기(실기)/인터페이스 구현
(1) 인터페이스 산출물
- 인터페이스는 크게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시스템 인터페이스로 구분된다.
- 분석 단계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을 통한 인터페이스 정의서 작성
- 명세 단계 : 인터페이스 정의서에 따라 인터페이스 명세서 작성
- 설계 단계 : 인터페이스 명세에 따라 설계 단계를 통해 구체적인 인터페이스 설계서 작성
(2) 인터페이스 설계서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이기종 시스템 및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해 각 시스템의 교환되는 데이터, 업무,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된 문서이다.
-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현황 파악을 위해서 인터페이스 목록 및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이다.
1.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사례
- 인터페이스 번호 및 인터페이스가 되는 시스템의 정보 및 관련 요구사항 ID를 목록 형태로 보여준다.
2.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 각 인터페이스 번호 당 인터페이스가 되는 데이터, 데이터 형식,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 등을 구체화하는 문서이다.
-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정보를 보여준다.
3.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
- 데이터 송, 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저장과 속성 등의 상세 내역을 포함한다.
▼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 주요 항목
-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식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 분류 코드와 연속 번호를 같이 활용
- 인터페이스 명 : 해당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고유 명칭
- 오퍼레이션 명 : 해당 인터페이스의 세부 동작 명칭
- 오퍼레이션 개요 : 해당 인터페이스의 세부 동작 프로세스에 대한 세부 설명
- 사전 조건 : 해당 인터페이스의 세부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사전에 완료되어야 하는 조건 기술
- 사후 조건 : 해당 인터페이스의 세부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된 이후에 발생되는 조건 기술
- 파라미터 : 인터페이스 구성 항목 값
- 반환 값 : 인터페이스 전송 후 반환되는 값
(3) 정적, 동적 모형 및 데이터 명세에 따른 인터페이스 설계서
- 정적, 동적 모형을 통해 각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시스템, 컴포넌트별 인터페이스와 요구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간 트랜잭션 확인을 통해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교환되는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다.
1. 데이터 명세를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 데이터 명세는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상세 명세를 표현하는 산출물이다.
-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 인터페이스 방식 및 명세, 리턴 형태까지 정의를 상세하게 표현한다.
(4) 내부, 외부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방안
1.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데이터의 인터페이스 확인
-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해 식별된 내부 및 외부 모듈의 기능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5) 외부, 내부 모듈 연계 방법(EAI, ESB 연계 방법)
- 기업시스템이나 공공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를 위해 외부 및 내부 모듈을 연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EAI 방식과 ESB 방식이 있다.
1. EAI 방식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이다.
- EAI를 사용함으로써 각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 줄 수 있다.
▼ EAI 구축 유형
- 포인트 투 포인트 : 가장 기초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방법으로 1:1 단순 통합방법
- 허브 앤 스포크 : 단일한 접점의 허브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 허브 장애 시 전체 장애 발생
- 메시지 버스 :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를 두어 연계하는 미들웨어 통합 방식, 뛰어난 확장성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 가능
- 하이브리드 : 그룹 내부는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을 사용하고, 그룹 간에는 메시지 버스 방식을 사용하는 통합 방식
2. ESB 방식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향하는 아키텍처이다.
- ESB는 버스를 중심으로 각각 프로토콜이 호환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통합을 느슨한 결합 방식으로 지원한다.
(6) 외부, 내부 모듈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절차
- 식별된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및 내부 모듈과 연계된 기능을 시나리오로 식별한다.
1. 연계된 기능에 따른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외부 모듈과 연계된 기능을 통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 인터페이스 동작은 외부 모듈의 결과나 요청에 따라 진행, 외부 모듈과 인터페이스 모듈 간의 동작 기능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의 기능 식별
내부 모듈과 연계된 기능을 통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 외부 모듈로부터 호출된 인터페이스의 동작으로 내부 모듈이 동작하고 이에 따른 최종 결과가 나타남, 해당 업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내부 모듈에 관련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식별
외부 및 내부 모듈과 연계된 기능을 통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 외부, 공통 및 내부 모듈 기능 분석을 통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필요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종합적으로 식별
(7)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은 상호 연계하고자 하는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가 되어야 할 범위의 데이터 형식과 표준을 정의하는 활동이다.
-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 시 인터페이스 데이터 형태가 동일한 경우는 그대로 전송하고, 인터페이스 데이터 형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한다.
- 송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송수신 데이터 중 공통의 영역을 추출하여 정의하는 경우, 한쪽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경우가 있다.
'정처기(실기) > 인터페이스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0) | 2022.08.30 |
---|---|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0) | 202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