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 페이지 디렉티브

2023. 1. 20. 11:19JSP&SERVLET

 

페이지 디렉티브란?

- 이게 있어야만 jsp다. 

- 속성과 속성값들로 이루어진 정보를 페이지 디렉티브라 한다. 

- 페이지 디렉티브에는 include, tagLibrary, page 문법을 쓸 수 있다. 

 

 

페이지란?

- jsp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를 페이지 디렉티브라 한다.

- 예를 들어,  java 언어를 사용하고 콘텐트타입은 text/html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language : 언어. jsp 페이지의 스크립트 요소에서 사용할 언어를 자바로 쓰겠다는 뜻이다.
  • contentTypes : jsp페이지가 어떻게 바뀔 것인지, html페이지로 바뀔 것이라면 캐릭터셋을 한국어로 사용하겠다라는 뜻이다.
  • pageEncoding : jsp페이지가 한국언어로 사용되어진다라는 뜻이다. 

 

import란?

- jsp도 똑같이 자바 언어이기 때문에 자바의 특정 클래스를 사용할 때 import를 해주어야 한다. 

 

 

세션이란?

- 세션은 jsp의 내장객체(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로서 그 중에 세션이라는 클래스가 있다. 세션 클래스의 특징은 원래 jsp에서 페이지 이동간에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로그인을 해서 메일을 보면 메인화면에 내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저장되어 있어야 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카페를 누르면 공통카페가 아니라 내가 가입한 카페가 나온다. 즉, 이런 식으로 화면이 바뀌어도 계속해서 정보를 유지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개념이 바로 세션이다.

 

- 대표적인 것이 쇼핑몰에서 장바구니 기능이 있다. 원래 페이지가 이동되거나 바뀌면 그 전에 있던 정보를 DB에 집어넣거나 그렇지 않는한 저장이 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고도 시스템간,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때 그 정보를 유지하고 싶을 때, 그 정보를 굳이 데이터베이스에 넣지 않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 세션 객체다.

 

- 모든 jsp 페이지는 세션을 사용할 수 있다. 

 

 

buffer/autoflush란?

- 먼저, 버퍼는 기본적으로 8킬로바이트로 잡혀 있다. 

- 예를 들어서, 동영상을 다운받으려고 할 때 버퍼링이 일어난다. 버퍼라는 메모리 저장 공간에 일정량의 동영상을 저장시켜 놓는다. 그렇게 되면 플레이하면 네트워크가 불안정해도 동영상이 끊기지 않는다. 계속해서 동영상 정보를 받는다. 

- 문제는 버퍼의 특징이 가득 차지 않으면 나가지 않는다. 동영상 다운 받을 때 버퍼링이 다 차지 않으면 플레이 되지 않듯이 우리가 요청한 페이지의 양이 8킬로바이트가 되지 않으면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보여주지 않는다.

- 이럴 경우, 출력 버퍼가 다 차지 않아도 자동으로 내보내시오 하는게 바로 autoflush다.  

'JSP&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페이지 스크립트 요소 -1  (0) 2023.01.22
JSP 페이지 디렉티브-2  (0) 2023.01.22
JSP 처리과정  (0) 2023.01.19
모델 2 방식  (0) 2023.01.16
모델 1 방식  (0)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