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7 TIL

2023. 7. 27. 19:01TIL(Today I Learned)

(1) @PathVariable

- 경로변수에 해당하는 값을 가져온다.

 

 

(2) node.js

- node는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해줄 수 있는 엔진이자 실행환경이다. 

-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3) React

- 리액트를 위해서 node, vscode가 필요하다.

- react는 CSR(Clent-Side-Rendering)을 편리하게 해준다.

-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렌더링을 할 수 있게 해준다. 

- 가상 DOM을 이용해서, 변경된 것들을 화면에 렌더링한다.

- 글씨 수정하고, 저장만 눌러주면 자동으로 웹소켓을 통해 수정한 내용들이 화면까지 전달된다.

- App.js에 여러개의 코드를 넣어서 만들 수 있다.

- App이라는 함수의 리턴값에 어떠한 태그를 작성하면 화면에 그것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App.js에 의해 화면이 만들어진다.

 

1. HMR(Hot Module Replacement)

- 수정 사항이 발생하면 바로 대체해버린다는 뜻으로, React를 이렇게 부른다.

 

2. JSX란?

- 리액트는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돌아간다. 

- jsx는 html 코드를 리턴해 줄 수 있는 타입을 말한다.

- jsx 파일은 html 코드를 자동으로 document.createElement() 해서 만들어준다.

 

 

 

!!여기서 잠깐!!

1. DOM이란?

- 현재 문서에 모든 object를 말한다.(띄어쓰기, 엘리먼트, h1 태그 등등)

 

2. status 101이란?

- 웹소켓 프로토콜에 대해서 100번대로 나온다.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7.26. TIL  (0) 2023.07.26
2023.07.19 TIL  (0) 2023.07.19
2023.07.18 TIL  (0) 2023.07.18
2023.07.17 TIL  (0) 2023.07.17
2023.07.14 TIL  (0) 202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