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0)
-
2023.04.06 기록
Ajax란? - 비동기통신을 말한다.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이다. - XML 문서는 태그로 이루어진 문서다. - Asynchronous는 비동기라는 뜻으로 브라우저에서 화면을 볼 때, 화면을 그대로 놔두고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 Ajax 를 사용하면 서버가 응답해준 문자열이 기본적으로 화면에 가득 채웠지만 자바스크립트에 어떤 변수로 실행결과가 담긴다. - 서버가 응답하는 문자열 덩어리가 변수에 담기게 해주는 것이 ajax다. - 요새는 JSON을 이용해서 AJAX를 사용한다. !!JSON이란? !! - JavaSCriptObjectNotation의 약자이다. -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구현할 때, 키- value값 쌍으로 보낸다. - ..
2023.04.06 -
2023.04.05 기록
- HTTP는 정해진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보내는 프로토콜이다. - 톰캣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서 처리하는 req.getParameter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 응답할 때도 프로토콜에 맞추어서 응답해야 하지만 타입, 길이를 만들어서 내보내야 되는데 reponse객체에서 알아서 처리가 되어있다. - resp.setHeader()하면 자동으로 스펙에 맞추어서 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톰캣이 서블릿을 한번 만들어놓고 어딘가에 계속 관리하고 있다. - 톰캣은 안쪽에서 바구니를 하나 만들고 톰캣이 만든 서블릿들을 다 관리하고 있다. - 만들어진 서블릿들은 바구니(서블릿 컨텍스트)에 담아있어 그 객체를 가지고 요구하는 것들을 처리한다. - 쓰레드 풀에 대한 작업도 톰캣이 ..
2023.04.05 -
2023.03.30 기록
1. 회원가입 서비스는(Insert Query) SQL을 한번만 실행해서 완료되는 작업이다. 이럴 때는 굳이 서비스 레이어가 필요없다. 하지만, 만약에 계좌이체로 예를 들면 기존의 계좌를 마이너스 해주고(쿼리 하나), 다른 사람 것을 플러스 해주고(쿼리 하나) 해야 이체가 완료된다. 이럴 때 두 가지의 쿼리문이 다 실행된 이후에 작업이 완료되어야 하는 것이니까(커밋을 찍어야 하는 것이니까) 서비스 레이어를 분리해야 하는 것이다. 모든 작업을 모아서 한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서비스 레이어의 주요 목표는 트랜잭션 처리다. 2. jsp 파일에 isErrorPage=true를 추가하면 자동으로 예외
2023.03.31 -
2023.03.29 기록
@WebServlet에서 경로를 두 개 설정하려면 @WebServlet({"/home", "/main"}) 이렇게 설정하면 된다. 포워딩과 리다이렉트의 차이 1. 동작하는 방식이 다르다. - 포워딩 방식 : 크롬 브라우저에서 톰캣한테 요청을 보낼 때, 요청은 서블릿이 받아서 처리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는 한번 요청을 하고 톰캣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jsp로 연결한다. 반면, 리다이렉트는 서블릿이 처리를 다 한 다음에 다른 jsp에 요청하라고 알려준다. 그러면 클라이언트는 응답받은 내용대로 새로운 곳에 요청을 다시 보낸다. 요청을 받은 측에서 다시 응답을 한다. 즉, 리다이렉트는 요청이 두 개 생겨서 서블릿이 작업을 다 하고 나서 리퀘스트에 값을 담아놨지만 그 값은 jsp가 처리할 req, resp에 ..
2023.03.29 -
2023.03.27 기록
1. jsp 내장객체란? - jsp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객체를 말한다. 2. percentlet 종류 : 자바 코드 작성 : 변수를 표현 : class 레벨에 자바코드 작성 -> 메소드, 멤버 변수도 가능 : directive tag(지시자 태그) servlet에서 jsp에 위임하는 방법 req.getRequestDispatcher("/ooo.jsp").forward(req, resp); servlet을 거치는 이유 1.경로 노출을 하면 안되서 2. 클라이언트가 다이렉트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이 깨질 수 있음(올바르지 않은 화면을 유저에게 보여줌) 3. 관리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 그래서, WEB-INF파일 안에 jsp 파일을 만들면 관계자외 출입금지인 페이지다. 그렇기 때문에 그 안에 js..
2023.03.27 -
2023.03.23 기록
IP : Port번호에 접속해서 특정 ip에 접속할 수 있다. 톰캣 9.0버전으로 새로 깔기! 톰캣 서버를 사용할 때, '/'가 붙이면 자동으로 ROOT 폴더에 연결된다. WS(WebServer) : 정적인 파일을 제공. 클라이언트가 무언가를 부탁해도 수정할 수 없고 있는 그대로를 보여줘야함. WAS(Web Application Server) : 동적으로 응답 가능함. 어플리케이션을 가지고 문자열 내보내기를 함.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은 HTTP 프로토콜임. 톰캣에다 프로젝트를 추가했을 때 설정해놓은 Content directory에 설정해놓은 폴더가 톰캣에 올라가게 됨. 프로젝트 그대로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폴더 안에 있는 것들이 올라감(webapp) Default output fol..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