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8)
-
DI(Dependency Injection)이란
DI(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이라고 한다. 다양한 의존 객체 주입 방법 1. 생성자를 이용한 의존 객체 주입 - constructorArgument 태그를 이용해서 객체를 넣어주면 된다. - 바로 주입되면서 의존 객체가 생성된다. 2. setter를 이용한 의존 객체 주입 - propery태그를 이용할 때 name속성값은 set을 없애고 소문자로 붙여 사용한다. - value는 속성값으로 지정해서 사용한다. 3. List타입 의존 객체 주입 - property 태그의 name은 메소드의 이름 중 set을 띄고 소문자로 'developers'라 쓴다. - list 태그 안에 value 태그들을 여러 개 생성한다. 4. Map타입 객체 주입 - map 태그 안에 entry 태그..
2023.03.22 -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Spring Framework - JAVA의 웹 프레임워크로, JAVA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한다. - JAVA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 툴이라 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듈 스프링 모듈 기능 spring-core 스프링의 핵심인 DI(Dependency Injection)와 IoC(Inversion of Control)을 제공함 spring-aop AOP 구현 기능 제공 spring-jdbc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다룰 수 있는 기능 제공 spring-tx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트랜잭션 관련 기능 제공 spring-webmvc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컨트롤러와 뷰를 이용한 스프링MVC 구현 기능 제공 -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듈을 사용하려면, 모듈에 대한 의..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