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0)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이란? - 데이터 조작어이다. - 테이블에 행을 추가 삽입(INSERT)하거나, 컬럼값을 수정(UPDATE)하거나 행을 삭제(DELETE)하는 구문이다. 1. INSERT - 새로운 행을 테이블에 추가하는 구문이다. 테이블의 행 개수가 증가한다. INSERT INTO EMPLOYEE VALUES(900, '조니', '901123-1080501', 'jajajaj', '01015523442', 'D1', 'J8', 'S3', 43000000, 0.2, '200', NULL); 2. INSERT ALL - INSERT시 사용하는 서브쿼리가 사용하는 테이블이 같은 경우,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 INSERT ALL을 이용하여 한번에 삽입을 할 수 있다. - 단, 각 서브쿼리의 조건절이 같아야 한다. 3. ..
2023.01.11 -
배열 - 얕은 복사/ 깊은 복사
얕은 복사 String[] arr = {"red", "blue", "green"}; //얕은 복사 String[] b = arr; for(int i = 0; i < b.length; i++) { System.out.println(b[i]); } 얕은 복사의 방법은 이렇다. 얕은 복사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다른 배열의 값을 바꾸면 오리지널 배열의 값도 바뀐다. 왜냐하면 같은 주소값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깊은 복사 String[] a = {"aaaaaa", "bbbbbb", "ccccccc"}; String[] b = new String[3]; b[0] = a[0]; b[1] = a[1]; b[2] = a[2]; System.out.println(b[0]);//aaaaaa System.out.prin..
2023.01.10 -
OSI 7계층 모델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노드(호스트)를 전송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칙과 전송매체의 특성을 다룬다. - 물리적/전기적/기계적 약속 - 동축케이블 규격, 신호의 전압 등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물리적 전송 오류를 해결하는 계층이다. - 오류 제어 -> 전송 오류 감지(재전송 기능) - 직접 묶여 있는 둘 간의 오류를 제어한다.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주소 개념 - 호스트와 호스트 사이의 올바른 전송 경로를 선택 - 라우터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 연결기능을 지원함 - 안전한 데이터 전송(오류 제어, 흐름 제어) - 실제 양끝단의 프로세스 사이의 오류제어, 흐름제어를 ..
2023.01.10 -
시스템 기초
노드(Node) -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용어다. -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을 말한다. 호스트 - 컴퓨터 기능이 있는 시스템 : 서버, PC - 일반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창구 역할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 호스트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고, 서버가 될 수도 있음 서버 -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보다 먼저 실행되어 대기 상태, 계속 살아있으면서 요청이 오면 서비스를 제공함
2023.01.10 -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기본 용어 인터넷 - TCP/IP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네트워크/망 - 전송매체로 서로 연결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전송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칙 프로토콜 -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 따르는 임의의 통신 규칙 표준화 -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연동하기 위해 형식을 통일하는 것 시스템 1. 시스템이란? - 체제/체계다. -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을 일컫는다. - 예 : 물리적 대상, 컴퓨터, 자동차, 커피자판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하드디스크 등 - 외부 입력, 내부 정보와 외부 입력 처리를 통한 외부 출력이 가능하다. - 작은 시스템이 모여 더 큰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방..
2023.01.10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DDL이란? - 데이터 정의어이다. 객체를 만들고, 수정하고, 삭제하는 구문을 말한다. (1) 오라클 객체의 종류 - 테이블, 뷰, 시퀀스, 인덱스, 패키지, 프로시저, 함수, 트리거, 동의어, 사용자가 있다. 1. CREATE - 테이블 만들기 CREATE TABLE 테이블명 (컬럼명 자료형(크기), 컬럼명 자료형(크기), ...); CREATE TABLE MEMBER ( MEMBER_ID VARCHAR2(20), MEMBER_PWD VARCHAR2(20), MEMBER_NAME VARCHAR2(20) ); (2) 제약 조건(CONSTRAINTS) - 테이블 작성시 각 컬럼에 대한 기록에 대해 제약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 데이터 무결성 보장이 주 목적이다. - 입력 데이터에 문제가 없는지 검사와 데..
2023.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