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0)
-
클래스와 객체
(1) 클래스 - 객체를 정의해놓은 것 - 객체의 설계도 또는 틀 (2) 객체 - 실제로 존재하는 것 (3) 인스턴스 -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 - 인스턴스는 객체와 같은 의미이지만, 객체는 모든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갖고 있음 - 인스턴스는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것인지를 강조하는 보다 구체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 (4) 객체의 구성요소 속성 : 멤버변수, 특성, 필드, 상태 기능 : 메소드, 함수, 행위
2023.09.04 -
2023.07.27 TIL
(1) @PathVariable - 경로변수에 해당하는 값을 가져온다. (2) node.js - node는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해줄 수 있는 엔진이자 실행환경이다. -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3) React - 리액트를 위해서 node, vscode가 필요하다. - react는 CSR(Clent-Side-Rendering)을 편리하게 해준다. -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렌더링을 할 수 있게 해준다. - 가상 DOM을 이용해서, 변경된 것들을 화면에 렌더링한다. - 글씨 수정하고, 저장만 눌러주면 자동으로 웹소켓을 통해 수정한 내용들이 화면까지 전달된다. - App.js에 여러개의 코드를 넣어서 만들 수 있다. - App이라는 함수의 리턴값에 어떠한 태그를 작성하면 화면에 그것이 나..
2023.07.27 -
2023.07.26. TIL
(1) mybatis - #{} -> 알아서 따옴표 붙여줌 - ${} -> 따옴포 붙이고 싶을 때 사용 검색 기능을 적용한 sql query SELECT * FROM BOARD WHERE STATUS = 'O' AND ${searchType} LIKE '%${searchValue}%' - 카운트 세는 QUERY SELECT COUNT(NO) FROM BOARD WHERE STATUS = 'O' AND ${searchType} LIKE '%${searchValue}%' - CONTROLLER //게시글 목록 -> board/list @GetMapping("list") public String list(@RequestParam(defaultValue = "1") int p, Model model, @Requ..
2023.07.26 -
스프링 채팅기능(2023.07.25)
(1) 웹 소켓이란? - 소켓은 웹에서 동작하는 Socket을 의미한다. 웹은 기본적으로 비연결통신이다. 한번 수신하고 끝내는 식이다. 전화처럼 계속 연결되어있고,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 한번 보내면 연결은 끝난다. 웹은 이런 식으로 비연결형 통신이다. - 웹은 일회성 연결만 가능하다. - 소켓은 계속 연결되어 있다. 마치 종이컵 두 개를 가지고, 전화할 수 있는 것이 웹소켓이다. 채팅할 때도 필요하고, 실시간 데이터가 관리되어야 하는 빗썸과 같은 가상자산 플랫폼에서는 소켓을 많이 활용한다. - 웹소켓을 활용하면 서버가 클라한테 마음대로 데이터를 받으라 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가 서버한테 "정보 좀 주세요~" 하지 않아도 서버가 알아서 데이터를 보내줄 수 있다. 이게 엄청난 장점. - ..
2023.07.25 -
2023.07.19 TIL
(1) Spring ajax 사용법 - 코드 예시(프론트단) - 코드 예시(백), api 사용 package com.kh.app.api.weath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UnsupportedEncodingException; import java.net.HttpURLConnection; import java.net.URL; import java.net.URLEncoder;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
2023.07.19 -
2023.07.18 TIL
(1) 공공데이터(전자정부서비스) - CORS라는 보안 조건에 따라 접속이 안될 수 있다. - 서버 측에서 설정을 바꿔주면 해결이 된다. - 또 한가지 문제는 만약 클라이언트가 크롬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게 만들어준다고 하면 서비스 인증키도 클아이언트한테 노출이 되어야 한다. - 그래서 크롬 브라우저에서 직접 요청을 보내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서버에서 날씨 정보를 받아와서 클라이언트에 알려주는 방법 밖에 없다. - 서버가 공공데이터에 가서 요청을 보낸 응답을 받아와서 다시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보내면 된다. - 하지만 매번 이렇게 왔다갔다 하는 방식으로는 안된다. - 서비스에 요청이 만번 들어왔으면 그 요청이 만번 들어왔기 때문에 제한이 걸릴 수밖에 없다. -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2023.07.18